학력
-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(법학사)
-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 졸업(법학석사)
-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졸업(법학박사)
-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, School of Law 졸업 (LL.M.)
경력
- 연세대, 경기대, 명지대, 광운대 강사
- 연세대 법학연구소 전문연구원
- 목포해양대학교 전임강사, 조교수
-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, 부교수
- 조선대학교 법학과장, 법학연구원장
- UC Berkeley School of Law, Visiting Scholar
- 미국 New York주 변호사 시험 합격
- 백악학술상 수상
- 현,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교수, 학장
- 한국법이론실무학회 회장
- 광주전남형사법학회 회장
-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상임이사
-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상임이사
- 광주지방경찰청 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
- 광주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회 부위원장
- 광주고등검찰청 행정심판위원회 위원
- 광주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위원
- 광주지방변호사회 법관평가위원회 위원
연구논문 및 저서
주요논문
- “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수사와 영장주의-미국과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”, 비교형사법연구(한국비교형사법학회), 제17권 제4호, 2015.
- “중지범의 자의성 판단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”, 비교형사법연구(한국비교형사법학회), 제17권 제3호, 2015.
- “유기천 교수의 형법학에 수용된 영미법이론”, 형사법의 신동향(대검찰청), 제48호, 2015.
- “해양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와 기업의 형사책임 - 영미의 사례 및 세월호 침몰사건과 관련하여”, 해양환경안전학회지
(해양환경안전학회), 제20권 제6호, 2014.
- “미국 형법상 Recklessness 개념에 관한 고찰”, 형사법의 신동향(대검찰청), 제45호, 2014.
- “다문화사회와 미국 형법상 문화적 항변”, 법학연구(한국법학회), 제56집, 2014.
- “기업살인법과 규제개혁”, 법학연구(한국법학회), 제55집, 2014.
- “미국 형법상 원인에서 자유로운 행위의 가벌성”, 법학연구(연세대법학연구원), 제24권 제2호, 2014.
- “재량적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증거수집의 주체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, 제26권 제2호, 2014.
- “또래괴롭힘(bullying)의 개념과 법적규율 -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-”, 일감법학
(건국대법학연구소), 제27호, 2014.
- “미국 형법상 불능미수의 가벌성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, 제25권 1호, 2013.
- “미국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의 착오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, 제25권 3호, 2013.
- “미국 형법상 중지미수의 가벌성”, 형사법의 신동향(대검찰청), 제41호, 2013.
- “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- 프랭켈, 퍼글러, 오플러를 중심으로 -”, 법학논총(조선대법학연구원),
제20권 2호, 2013.
- “중립적 기술제공과 공범 성립 여부 - 한국, 일본, 미국의 사례와 관련하여-”, 법학논총(숭실대법학연구소), 제29집, 2013.
- “동산이중양도의 배임죄 성립 여부”, 법학연구(한국법학회), 제51집, 2013.
- “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의 입법연혁과 영미법의 영향 - 일본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의 제정과정과 관련하여-”, 법학논총
(조선대법학연구원) 제19권 3호, 2012.
- “미국 형법상 중립적 행위에 의한 방조의 가벌성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 제24권 4호, 2012.
- “형법해석에 있어서 사실주의와 규범주의 -최근 대법원 판례와 관련하여-”, 홍익법학(홍익대법학연구소) 제13권 3호,
2012.
- “미국 배심재판에서 전문증거와 대면권”, 법학논총(조선대법학연구원) 제18권 3호, 2011.
- “영미법상 전이된 고의이론에 관한 고찰-법정적부합설 및 그 한계 사례와 관련하여-”, 형사법의 신동향(대검찰청), 제33호,
2011.
- “공해상의 범죄혐의 선박에 대한 연안국의 관할권 - 미국의 F/V Jinn Yinn호 사건 등과 관련하여-”, 해양환경안전학회지
제17권 1호, 2011.
- “미국연방대법원의 법해석과 텍스트주의”, 미국헌법연구(미국헌법학회) 제21권 3호, 2010.
- “최근 성범죄 관련 법률의 입법과정의 문제점”, 법학논총(단국대법학연구소) 제34집 2호, 2010.
- “객관적 귀속론과 영미법상 법적 인과관계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 제21권 4호, 2009.
- “사인의 컴퓨터 해킹에 의한 증거수집과 증거배제법칙 - 미국의 United States v. Jarret 사건과 관련하여 -”, 형사법연구
(한국형사법학회) 제21권 3호, 2009.
- “영미법상 공범체계와 공범종속성원칙의 변천 - 우리 형법상 공범체계와 관련하여-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
제21권 2호, 2009.
- “의무적 양형제도에 관한 고찰”, 형사정책(한국형사정책학회) 제20권 2호, 2008.
- “The Origin of Hearsay Rule in the Korean Code of Criminal Procedure, 법학연구(한국법학회) 제32집, 2008.
- “A Study on the US Impact on the Korean Code of Criminal Procedure", 법학논총(법학연구원), 제15집 2호,
2008.
- “사인이 수집한 형사사건의 증거와 증거배제법칙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 제20권 2호, 2008.
- “미국의 삼진아웃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”(A Comparative Study on the Three Strikes and You're Out Law),
법학연구(한국법학회) 제30집, 2008.
- “범죄사실의 동일성에 관한 대법원과 미국연방대법원 판례의 비교 고찰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 제19권 제3호,
2007.
- “접속수역, 배타적 경제수역 및 공해에서의 형법의 역외적용”, 법학연구(한국법학회) 제26집, 2007.
- “공해에 있어서의 형법의 역외적용 -유엔해양법협약상 추적권 행사와 관련하여-”, 해사법연구(한국해사법학회)
제15권 제2호, 2003.
- “합동범에 관한 연구 -독일형법상 집단절도죄와 비교법적 관점에서-”, 비교형사법연구(한국비교형사법학회) 제5권 제1호,
2003.
- “배후정범에 관한 소고”, 형사법연구(한국형사법학회) 제11집 제3권, 2001.